제 25장. '가르치되 가르치는 것은 없다[化無所化分]'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희들은 여래가 이런 생각을 하길, ‘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濟度)한다’고 말하지 말라.
수보리야, 이런 생각을 하지 말지니 왜냐하면 실로는 여래가 제도(濟度)할 중생이 없음이니,
만약 여래가 제도할 중생(衆生)이 있다 하면 여래는 곧 아와 인과 중생과 수자가 있음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설하길, 내[我]가 있다는 것은 곧 내가 있음이 아니거늘,
범부들이 이를 내가 있다고 여기느니라. 수보리야, 범부라는 것도 여래가 설하되 곧 범부가 아니고,
그 이름이 범부니라.
해석)
부처님은 무상정등정각을 깨달으신 분이라 마음 속에 사상을 이미 여의신 분입니다.
그러하니 당연히 중생이라는 생각 범부라는 생각이 없으십니다.
그러나 설법을 위하여 방편으로서 중생과 범부를 말하십니다.
중생들의 혹여라도 부처님이 말씀하시는 중생과 범부를 고정된 법이라 생각 하실까봐 단지 이름일뿐 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법공, 아공, 공성인 성품의 자리에 무슨 부처와 중생의 분별이 있겠습니까?
제 26장. '법신은 모습이 아니다[法身非相分]'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32상(相)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말씀드리길,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32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수보리야, 만약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다 하면 전륜성왕도 곧 여래이리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의 설하신 뜻을 이해하기에는 마땅히 32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약 색신(色身)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音聲)으로써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道)를 행함이라,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
해석)
부처님이 꺠달으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공성의 성품이므로 소리와 빛깔과 냄새와 일체를 떠난 자리입니다. 그러하므로 그러한 부처님의 성품을 모습과 소리로서 구한다면 이것은 마치 산에서 고래를 찾는 것과 같이
영원히 불가능한 것입니다.
기도 중에 나타나는 모든 거룩한 형상은 단지 자기 마음의 투영임을 알아서 참고할 뿐이지 마치 그것이 진짜
부처님이라고 생각한다면 바로 마장에 빠지는 것입니다.
'선으로 풀어쓴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29~30장 (0) | 2016.11.10 |
---|---|
금강경 27~28장 (0) | 2016.11.03 |
금강경 23~24장 (0) | 2016.10.20 |
금강경 21~22장 (0) | 2016.10.13 |
금강경 19~20장 (0) | 2016.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