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이야기3 13

금강경 사구게를 완전히 이해하다.

1.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 비상 즉견여래   모든 상은 무상하다. 그러므로  집착없이 바라보라.   부처님이 그렇게 바라 보신다. 2,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내 몸의 육근이 무상하니 집착할 필요가 없다.   집착을 하지 않으면 마음의 머무름도 없다 3.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   부처님 몸도 무상한 것이니 집착하지 말라. 4.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이 세상은 무상하다. 그러지 집착하지 말라. 결론은 이 세상 모든 것(내 몸과 내 몸을 바탕으로 인식하는 도믄 대상)은 무상하다.그러므로 집착하지 말라.

나의이야기3 2024.12.09

밀라래빠 십만송 유투브 강의 내용

45. 짧은 이야기 아홉편 https://youtu.be/7n8F1KanLVk 44.회의주의자의 귀의 https://youtu.be/S2Sd9N8iCjM 43.뙨꼼래빠에게 들려주는 행복의 노래 https://youtu.be/mRhHySelQCo 42. 논리학자 로뙨 이야기 https://youtu.be/yUIEM-37MIc 41.c 법의 상속자 감보빠 이야기 https://youtu.be/bjDTiiwlIGI 41.b 법의 상속자 감보빠 이야기 https://youtu.be/B9UHhXXRyC8 41.법의 상속자 감보빠 이야기 https://youtu.be/e9SYNBlSAoE 40. 괴로움을 떠나 즐거움을 얻는 노래(랜꼼래빠) https://youtu.be/89DA3dra_bQ 39. b 래충빠의 참회..

나의이야기3 2021.10.24

마음챙김과 알아차림

빠알리대장경에 나오는 마음챙김과 알아차림을 보면서 생각을 정리해 봅니다. ▶마음챙김 여섯가지 감각기관을 통하여 일어나는 갈애를 관찰하고 극복함을 말합니다. "그는 눈으로 형상을 보지만 총체적인 것에 집착하지도 않고 개별적인 것에 집착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눈이라는 감각의 문을 다스리지 않으면 탐내는 마음과 싫어하는 마음처럼 마음을 산란하게 하는 해로운 법들이 흘러들어올 것입니다." 백봉 김기추 선생님의 하기 법문이 생각 납니다. 문성막타협(聞聲莫妥協) - 소리를 듣되 그것과 타협하지 말라. ▶알아차림 "앞을 볼 때도 뒤를 볼 때도, 몸을 구부릴 때도 펼 때도 가사와 발우를 지닐 때도 먹을 때도 마실 때도 씹을 때도 맛볼 때도 자신의 행위를 분명히 알면서 행합니다. 걸으면서도 일어서면서도 앉으면서도 누우면..

나의이야기3 2021.09.22

사성제를 바탕으로 한 제사 기도문

오늘 기일을 맞아서 강림하신 OOO 조상님 영가이시여 편하게 좌정하소서. 기품 있는 조상님께 이 후손이 몇 말씀 올립니다. 거룩하신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면, 중생들이 괴로운 육도를 끊임없이 윤회 하는 이유는 이 몸을 나라고 생각하여 이 몸을 바탕으로 존재에 대한 갈애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오늘 부처님의 간결하고도 핵심적인 가르침을 말씀드리니 마음으로 들으시어 괴로운 윤회를 벗어나십시오. 기품 있는 조상님이시여, 인연으로 생겨난 모든 것은 잠에서 깨어나면 없어지는 꿈과 같으며, 환상과 같으며, 꺼지고 마는 물거품과 같고, 잡을 수 없는 그림자와 같으며 해 뜨면 없어지는 아침 이슬과 같고 잠시 번쩍이고 사라지는 번개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인연으로 생겨난 나의 몸이 무상하며 괴로움이고 참된 것이 ..

나의이야기3 2021.08.06

얻은 것이 없는 행복함

여기 한 사람. 가족과의 불화로 불행한 사람이 있다. 어떤 계기로 모든 것을 용서하고, 잊고, 마음에서 털어버려서 그는 행복함을 얻었다. 그가 얻은 행복함 이란 모든 것을 버리고서 얻은 것이다. 그러하기에 행복함 이란 얻은 그 무엇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이름을 행복함 이라고 붙인 것이다. 이러하다면 부처님이 마음속 모든 갈애를 버리고서 얻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조금 이해 할 수 있지 않을까. 금강경에서 말씀하시는 “내가 얻은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하는 것이 아니고, 실로 얻은 법이 없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한다”는 말씀을 이해 할 수가 있을 것 같다. 유투브 빠알리대장경을 보면 부처님이 제자에 따라서 다른 수행법을 제시하시지만 결국은 그 수행법을 통하여 제자들이 마음 속..

나의이야기3 2021.07.08

무상(無常)으로 답하는 안수정등 화두.

하기의 내용은 도인이셨던 전강선사님의 설법중 한구절 입니다. 안수정등의 이야기는 무상한 생사고해(生死苦海)에서 짧은 오욕락에 잡혀 살아가는 중생들이 어떻게 하면 벗어날수 있는가? 라는 질문입니다. 이 질문에 당대의 선사들이 한 말씀씩 하셨습니다. 선사들의 답변은 공성에 앉은 자리에서 하신 것입니다. 고봉스님의 답변도 공성을 직관적으로 표현 하셨지만, 전강스님의 답변이 좀더 직관적입니다. 최근 제행무상을 잊지 않으려고 힘쓰는 저도 한 말씀 드려야 겠습니다. 제행무상-고-무아의 입장에서 한 말씀 드립니다. 그냥 놓아라! 마하반야바라밀! -----------------------------전강선사 법문 ------------------------------------- 한 사람이 망망한 광야를 가는데 그 사람..

나의이야기3 2021.07.06

아상(我相)이란 무엇인가

금강경에서 장로 수보리가 부처님께 "모든 보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하오니, 응당 어떻게 머무르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 받아야 합니까?"라고 물으니 "보살이 일체의 중생을 모두 무여열반에 들도록 제도 해도, 한 중생도 제도 했다는 생각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대답을 하셨습니다. 왜냐하면 보살(聖人)은 아상이 없다고 하십니다. 아상은 나라는 생각입니다. 오온(색수상행식)을 나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상 입니다. 색 : 육근이 갖추어진 물질적인 나의 몸 수 : 나의 몸을 바탕으로 받아들이는 경계 상 : 받아들인 경계에 대하여 생겨난 인식 행 : 생겨난 인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나의 행동 식 : 반복된 행위로 굳어진 나의 의식 오온에서 물질적인 색은 육근의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안이비설신의) 육근은..

나의이야기3 2021.07.03

괴로움은 공부의 좋은 친구

유투브에서 빠알리대장경 영상을 보면 부처님의 가르침을 생생하게 느낄수 있어서 다른 수행법의 입지가 많이 흔들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상을 통하여 요약되는 부처님의 가르침은 제행무상-고(苦)-제법무아를 바탕으로 갈애의 소멸을 통한 열반의 성취입니다. 열반을 성취한 경지에 대한 질문에는 사유와 언어를 벗어난 세계이라고 말씀합니다. 역시 참선 수행의 언어도단, 양구(良久)와 같은 경지 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이러하다면 이후에 형성된 모든 수행법은 결국 갈애를 소멸하기 위한 전문화된 각각의 수행방법 입니다. 참선수행도 화두 탐구를 통한 갈애의 소멸, 염불수행도, 절 수행도, 진언수행도 모두 집중을 통한 갈애의 소멸이라 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행의 목적이 소원을 성취하기 위함이라면 오히려 갈애를 ..

나의이야기3 2021.06.26

정신과 물질은 언제 사라지는가?

유투브 빠알리대장경에서 디가니까야 께왓다 경에서 발췌한 일부 내용입니다. 공부를 하시는 이들에게는 참으로 가슴에 와닿는 내용입니다. 모든 중생이 열반에 든다면 빅뱅 이전으로 돌아 가겠습니다. ---------------------------------------------------------------------------- 비구가 물었습니다. 벗이여, 네 가지 근본물질인 땅의 요소와 물의 요소와 불의 요소와 바람의 요소는 도대체 어디에서 남김없이 소멸합니까? 대범천이 말했습니다. 비구여, 나는 위대한 대범천으로 정복자이며 정복되지 않는 자이며 모든 것을 보는 자이며, 지배자이고 창조자이며 전능자이고 최상자이며 존재하는 것과 존재할 모든 것의 아버지 입니다. 비구여, 범신천의 천신들은 대범천이 보지 못..

나의이야기3 2021.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