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1장. '견해를 내지 않는다[知見不生分]'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부처님이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말하였다’ 한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은 나의 말한 바 뜻을 이해하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지 못합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세존께서 말씀하신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은 곧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아니고, 그 이름이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입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낸 사람은 모든 법을 마땅히 이와 같이 알며, 이와 같이 보며,
이와 같이 믿어서 법이란 모양[法相]을 내지 않아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말한 바 법의 모양[法相]이란 여래가 설하되 곧 법의 모양이 아니고,
그 이름이 법의 모양이니라.
해석)
금강경 설법을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부처님은 수보리의 처음 질문(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는 사람은
어떻게 그 마음을 머무르고 항복받아야 합니까?)에 대하여 첫 답변(사상을 떠나야 진정한 보살이라고 하심)을 상기시키면서 부처님이 하신 모든 설법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방편이었음을 말씀하십니다.
부처님이 깨달으신 최상의 지혜인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에 대하여 그 무엇인가 실체가 있다고 한다면
법상이며, 그렇다고 부처님이 깨달으신 것이 없다고 한다면 비법상이니 이 양변을 모두 뛰어넘어야 합니다.
그래서 부처님이 꽃 한송이 든 것을 가섭존자가 보고 미소 지은 거기에 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드러난
것입니다.
제 32장. '응신, 화신은 참된 몸이 아니다[應化非眞分]'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지(阿僧祗) 세계에 가득찬 칠보(七寶)를 가지고 보시할지라도,
만약 또 어떤 선남자선여인으로서 보살의 마음을 낸 자가 이 경전을 가지되, 내지 사구게(四句偈) 등이라도
받아지니고 읽고 외워서 남을 위해 연설하면 그 복덕(福德)이 훨씬 뛰어나리라.
어떻게 남을 위해 연설하는가? 모양[相]을 취하지 않고, 한결같이 움직이지 않느니라
무슨 까닭인가. 일체의 함이 있는 법[有爲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개와도 같으니, 마땅히 이와 같이 살필지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하여 마치시니, 장로 수보리와 모든 비구, 비구니와 우바새와 우바니와 일체 세간의
천상과 인간과 아수라 등이 부처님의 설하심을 듣고 모두 다 크게 환희하며, 믿고 받아지니며, 받들어 행하더라.
해석)
일체의 법이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 같고 그림자 같고 이슬과 같고 번개와 같다고 안다면,
즉 일체제상을 보되(약견제상) 허무한줄 알아서 집착이 없다면(비상) 이것이 바로 부처님의 진리를 보는 것
(즉견여래)입니다. 즉 유위법은 무상하므로 갈애의 대상이 아님을 알아서 갈애가 떨어져 나가면 저절로
생사가 떨어져 나가고 저절로 해탈의 경지인 아뇩다라샴막삼보리가 드러나는 것입니다.
신수봉행!
어쩌면 이 네 글자에 불교인의 생활목표가 담겨 있겠습니다.
부처님 말씀을 믿고 받아지니고 받들어서 행동으로 옮기는 그것이 진정한 불자 이겠습니다.
부처님은 스스로 돕는 사람을 돕습니다 !
'선으로 풀어쓴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을 마치면서 (0) | 2016.11.17 |
---|---|
금강경 29~30장 (0) | 2016.11.10 |
금강경 27~28장 (0) | 2016.11.03 |
금강경 25~26장 (0) | 2016.10.27 |
금강경 23~24장 (0) | 2016.10.20 |